정부가 24일 강도 높은 대북 제재 조치를 발표함에 따라 은행권도 바빠른 비상계획 수립에 돌입했다.
이날 금융권에 따르면 개성공단에 지점을 두거나 북한 진출 기업과 금융거래를 하는 은행들은 현지와 비상연락체계를 갖추고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비상계획 등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사실상 남북 교역 전면 중단을 선포했다.
하지만 남북경제협력의 핵심인 개성공단은 이번 조치에서 제외됐으며 정부는 개성공단을 축소 운영하기로 했다.
이미 북한에 진출해 있는 국내은행들은 최악의 사태까지 염두에 둔 상태다. 이번 정부의 대북(對北) 제재 발표로 개성공단을 제외한 모든 교류협력은 중단된 상태에서 앞으로 상황이 악화하면 개성공단마저 문을 닫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우선 국책은행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만일 개성공단이 폐쇄돼 이 곳에 진출한 남한 기업이 피해를 보게 되면 수출입은행은 남북경협기금을 통해 보험금을 지급하게 된다.
남북경협기금의 조성 규모는 9조원 정도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에 진출해 있는 국내 기업들은 대부분 보험에 들고 있다.
수출입은행은 기업들이 보험금 지급을 신청하면 심사를 거쳐 최종 지급 여부를 결정한다.
수출입은행 관계자는 "개성공단 입주 기업이 피해를 보게 되면 정부 지침에 따라 보험금을 지급하겠지만 현재로서는 그 규모 등을 말하기는 어렵다"고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또 개성공단에 진출한 남한 기업들에 대출 등의 업무를 취급하는 다른 은행들도 사태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업은행은 개성공단에 입주한 14개 기업에 214억 원을 대출하고 있다. 산업은행 역시 개성공단 진출 기업에 대출금이 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현재 개성공단의 조업현황, 정치적인 여건, 정부의 움직임 등을 지켜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 은행 중 유일하게 개성공단에 지점을 둔 우리은행은 직원 3명과 현지 고용인원 3명 등 6명이 근무하고 있다.
주로 입주 업체와 주재원들을 대상으로 여·수신 및 송금, 세금 수납, 현지 급여 송금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이날 "정부의 대북제재안 발표후 현지 파견된 은행 직원을 3명에서 2명으로 축소하라는 지침을 받았다"며 "현재 통일부 주관하에 (개성공단)지점 운영 방침이 정해지는 만큼 일단 사태를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