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채 수요기반을 확대하고자 다음달부터 물가연동국고채(10년 만기)를 다시 발행한다.
기획재정부는 26일 "올해 국고채 발행 물량의 2.3%인 1500억 원 수준의 물가연동국고채(10년 만기)를 매달 발행할 계획"이라며 신규물 입찰일인 내달 21일 다시 발행한다고 밝혔다.
이는 10년물 경쟁입찰 인수물량의 20% 수준으로 매년 1500억 원씩 연간으로는 1조8000억 원 규모의 물가채가 발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물가채는 물가가 오르면 투자원금의 가치가 떨어지는 기존 국채와는 달리 오르는 물가만큼 투자원금의 가치도 상승하게 된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정부는 2007년 3월 물가채를 처음으로 발행했으나 주요 투자기관의 관심 부족으로 인한 수요 부족, 발행방식의 한계 등으로 2008년 8월부터 발행을 중단했다.
김정관 국채과장은 "최근 경기회복 등에 따라 미래 물가상승에 대비한 물가채 수요가 증가하고 금리가 크게 하락했다"며 "과거 발행한 물가채 발행을 재개해 이자비용을 절감할 것"이라며 재발행 이유를 설명했다.
재정부는 발행방식을 발행금리를 사전에 확정하고 사후 물량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개선해 실수요를 고려한 필요량만큼 발행이 가능해 수급불균형 우려가 완화되고 국고채전문딜러(PD)의 부담도 덜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과거의 고정물량 발행방식은 사전에 발행물량을 결정하기 때문에 주어진 물량에 대해 각 PD가 의무적으로 입찰해 물량을 인수해야 하기 때문에 일정 물량 이상을 인수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새로 발행하는 물가연동국고채의 발행금리는 명목국채 10년물 낙찰금리와 연계해 사전에 공표한다. 즉 물가채 금리는 명목국채 10년물 금리에서 채권평가회사가 물가상승률과 선호도 등을 감안해 평가한 금리스프레드를 뺀 값으로 사전에 결정된다.
아울러 만기시 물가가 하락한 경우 원금을 보장해 상품매력도를 증대할 계획이다.
김 과장은 "물가연동국채 발행으로 국고채의 다양한 시장수요에 부응하고 금융시장 발전의 인프라를 제공할 것"이라며 "정부도 채무 구조를 다양화해 재정자금 조달 원활화 및 조달 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