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가 외환위기(IMF) 전후로 사회적 위기감이 가장 고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사회위기지표와 위기수준' 보고서에 따르면 7일 1996~2008년 사이 13년간 매년 사회적 위기감 비교 조사를 펼쳤는데 그 결과 1996~1998년, 2000년에 심각한 위기상태에 봉착했다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후 2001~2008년에는 사회가 비교적 안정권에 접어들었다는 반응이 나왔다.
그러나 2000년대 접어들면서 우리나라 사회는 안정권에 유지하고 있었지만 고용 불안정, 물가 상승 등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후유증으로 사회적 위기감은 점차 높아진 것으로 드러났다.
사회위기지표와 수준은 사회위기 항목을 10개 영역 44개 지표로 나눠 분석해 점수(100점 만점)로 매겼다. 2004~2005년 위기점수는 55~56점을 기록, 1996~2008년 사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여 사회안정을 이뤘다.
그러나 2008년에는 위기지표가 81점 이상을 기록해 심각한 위기 상황에 직면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실업률 증가, 고령화지수 증가, 출산율 감소, 지역간 소득격차, 원유폭등, 물가 오름세 등이 원인으로 작용했다.
2008년 경제일반 영역의 위기수준도 1996~1997년에 뒤를 이어 최고치를 보였다. 이는 원유가 폭등,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으로 2007년에 비해 높아졌기 때문이다.
고용영역의 위기수준은 2007년에 33.8점으로 13년 간 매우 낮았지만 2008년에 20점 상승한 53.7점으로 나타났다. 교육영역 위기수준은 2001~2006 5년간 33.4~59.4점으로 안정적이었지만 2007년에 90.1점으로 가파르게 상승됐다.
주거영역에는 2005년과 2006년에 각각 72점, 79점으로 위기 체감도가 높았지만 2007년에 접어들면서 49점으로 하락해 안정을 찾았다.
사회갈등 및 문화영역의 위기수준은 1996년, 1998년, 2000년, 2002년에 높았다. 1998년에는 IMF 구제금융 시기에 노사간 갈등 심화로 100점 만점을 기록했다. 정치일반 영역의 위기수준은 1997년 2006~2007년 높은 위기분포도를 보였는데 특히 2007에 대선이 치러지면서 90.4점으로 13년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구 및 가족영역의 위기수준은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저출산 고령화가 이슈가 되면서 66.4~90.5점으로 증가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