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7일 헝가리 정부의 재정위기 우려에 대해 "국내에 미치는 영향을 제한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난 주말 부산에서 폐막한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의 성과와 관련해 기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헝가리 재정위기 소식은 신임 정부가 전 정부의 실정을 부각시키려다 나온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헝가리는 8년만에 정권을 잡은 보수정권 관계자가 구 정권의 '재정 분식' 의혹과 관련해 "헝가리가 제2의 그리스가 될 것"이라고 폭로하면서 국제금융시장에 불안을 가중시켰다.
윤 장관은 "16개국이 유로를 쓰기 때문에 재정에서 방만하게 운용하는 유혹을 떨치기 힘들고 환율조정도 안된다"며 "적자를 내는 국가는 통화금융정책을 할 수 없게 돼 계속 끌려가게 되고 흑자를 낼 경우 그 반대 상황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유럽은 겉으로는 단합이 잘 돼 있는데 내부 갈등이 심각하다"며 "그렇다고 유로존을 분리시키기에는 소비자 후생에 도움이 안 되는 등 진퇴양난의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헝가리 사태가 당분간 환율에 반영될 것"이라며 "그리스 위기에 이번 일까지 겹쳐 유로화가 약세를 보이고 달러가 강세를 보이는 등 원화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G20회의에서 논의된 에너지 보조금 문제와 관련해 윤 장관은 "중국은 거부했는데 선진국이나 신흥개도국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많았다"면서 "중국이 가장 강하게 반발했는데 그렇다고 미국 영국이 그 앞에 나설 수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은행분담금도 선진국끼리 갈렸다. 캐나다 호주는 '필요 없다'고 하고, 캐나다는 컨틴전시 캐피털 하자고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