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갤럭시S’와 애플의 ‘아이폰4’로 대별되는 ‘스마트폰 전쟁’이 SK텔레콤과 KT의 ‘이동통신 대전’으로 확산되고 있다.
SK텔레콤의 정만원 사장과 KT의 표현명 사장은 9일 방송통신위원회 주최로 열린 ‘스마트 모바일 앱 개발 지원센터’ 구축 협약식에 나란히 참석해 스마트폰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날카로운 신경전을 펼쳤다.
이날 양사 경영진들은 ‘갤럭시S’와 ‘아이폰4’간 경쟁이 국내 스마트폰 시장을 크게 확산시킬 것이라는 데 대해서는 이견이 없었으나 동맹진영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 확보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SK텔레콤은 유료결제 해결 등 안드로이드 진영에 힘을 보탰다. SK텔레콤은 또 아이폰 AS 정책을 또 다시 비판, 우회적으로 국내기업인 삼성전자와의 제휴에 의미를 부여했다. 반면 KT는 아이폰4의 성능에 대한 확고한 자신감을 드러내면서도 삼성전자의 자사 콘텐츠 인력 스카우트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았다.
삼성전자의 ‘갤럭시S’와 애플의 ‘아이폰4’로 대별되는 ‘스마트폰 전쟁’이 SK텔레콤과 KT의 ‘이동통신 대전’으로 확산되고 있다.
SK텔레콤의 정만원 사장과 KT의 표현명 사장은 9일 방송통신위원회 주최로 열린 ‘스마트 모바일 앱 개발 지원센터’ 구축 협약식에 나란히 참석해 스마트폰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날카로운 신경전을 펼쳤다.
이날 양사 경영진들은 ‘갤럭시S’와 ‘아이폰4’간 경쟁이 국내 스마트폰 시장을 크게 확산시킬 것이라는 데 대해서는 이견이 없었으나 동맹진영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 확보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SK텔레콤은 유료결제 해결 등 안드로이드 진영에 힘을 보탰다. SK텔레콤은 또 아이폰 AS 정책을 또 다시 비판, 우회적으로 국내기업인 삼성전자와의 제휴에 의미를 부여했다. 반면 KT는 아이폰4의 성능에 대한 확고한 자신감을 드러내면서도 삼성전자의 자사 콘텐츠 인력 스카우트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았다.
정만원 SK텔레콤 사장은 갤럭시S를 아이폰 대항마로 추켜세웠다. 때문에 굳이 7월 말로 예정된 ‘아이폰4’를 의식해 출시일을 조정하지는 않을 방침이다.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삼성의 갤럭시S가 조금 앞서고, 생태계(애플리케이션)쪽은 아이폰이 조금 더 낫다고 평했다. 정 사장은 애플 앱스토어가 아직 더 많은 앱을 갖고 있다는 점은 인정한다고 했다.
하지만 질적인 면에서는 우리도 손색이 없다는 생각이다. 게다가 게임 관련 서비스가 안되는 점은 안드로이드만의 문제가 아니라 애플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유료 앱 사용 가능여부와는 별개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정 사장은 이른 시일내에 구글과 협의해 안드로이드마켓 유료 콘텐츠 사용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약속하기도 했다.
그는 이번에 앤디 루빈 구글 부사장이 국내 방한한 이유 중 하나가 안드로이드마켓 정상화였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의 T스토어를 통해서도 안드로이드폰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안드로이드마켓이 정상화 되면 시너지 효과가 상당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러나 정 사장은 통신서비스 회사를 너무 디바이스(단말기)로 양분하지 말아달라고 주문했다. 갤럭시S는 SK텔레콤이, 아이폰4는 KT가 판매한다는 관점으로만 보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KT 표현명 사장은 ‘아이폰4’와 ‘갤럭시S’의 대결은 한 달안에 승부가 난다고 강한 자신감을 보였다. 표 사장은 고객은 무엇이 더 좋은 지 안다는 말로 대신했다.
단말기 라인업이 많아서 좋은 것은 일반폰 시대 얘기다. 스마트폰은 라인업 보다는 콘텐츠를 위한 앱스토어 경쟁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 표 사장의 전략이다. 따라서 ‘아이폰4’와 ‘넥서스원’에 대한 기대감이 무엇보다 크다.
이날 표 사장은 ‘아이폰4’에서도 고객이 원한다면 와이파이를 통한 영상통화를 지원하겠다고 했다. ‘아이폰4’의 ‘페이스타임’ 기능을 막지 않겠다는 복안이다. KT는 지난 해 11월 도입한 아이폰3G와 아이폰3Gs로 누적판매량 70만 대를 넘어서는 대박을 일구어 냈다.
그는 ‘갤럭시S’도 좋은 기기라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면서 이번 경쟁을 통해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콘텐츠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관련 KT 직원들이 삼성전자로 갔다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기도 했다.
KT에서 서비스육성실장으로 일하던 한글과컴퓨터 출신 강태진 전무는 얼마 전 삼성전자 미디어솔루션센터로 이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