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말로 예정된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 발표를 앞두고, 정부의 지분 매각 절차와 공적자금 회수 규모 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9일 금융위원회 내부에서는 ▲지분 분산매각 ▲블록세일 ▲단순합병 ▲일부 매각+합병 등의 다양한 시나리오가 거론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로서는 '일부 매각+합병' 방식이 가장 유력시되고 있다. 예금보험공사는 우리금융 보유지분 57%를 투자자를 대상으로 공개 입찰에 부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분 분산매각은 민영화 과정이 쉽지만, 경영권 프리미엄을 얻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블록세일은 주식 시장에 지분을 공개 분산 매각하는 방식이라 간편하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을 수 없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단순합병은 인수 주체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독과점을 비롯해 매각대금을 법인의 주식으로 받기 때문에 공적자금 회수가 지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융권에서는 '일부 매각+합병'안이 가장 유력할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우리금융의 계열사인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을 분리 매각하는 방안에 특히 공감하고 있다. 다만, 우리투자증권을 분리 매각할 경우 우리금융지주의 시장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의견이 엇갈린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우리금융지주가 최근 분리매각에 대해 반대 입장을 보여, 이 문제가 변수로 작용할 지도 주목되고 있다. 우리금융지주 측은 당초 빠른 민영화를 위해 찬성했지만, 지역사회의 반발로 정치적 이슈로 바뀔 경우 민영화가 장기 표류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최상목 공자위 사무국장은 우리금융 민영화에 대해 "합의가 많이 이뤄진 상태다"고 전제하면서도 "자회사 분리매각에 대해 어느 범위까지 진행할지 결정된 것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우선 매각소위를 몇 번 더 진행해, 이를 구체적으로 결정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장에 매각 방식을 맡긴다는 금융위의 입장과 달리, 금융당국이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지도 주목된다.
지난달 우리금융 민영화 발표가 미뤄진 주요 배경으로, 국내외 시장 상황보다 금융당국과 청와대와의 시각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청와대는 구체적인 방안과 인수 후보자들에 대한 의견을 금융당국에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