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관리업이 오는 2020년까지 세계 1위 수준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된다. 현재 선반관리업 국내 시장 규모는 현재 1조원에 달하지만 실질적인 관리체계가 미흡하여 선진화 시킬 필요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국토해양부는 이에 관련해 9일 부산지방해양청에서 한국선주협회 등과 공동으로 `선박관리업 선진화ㆍ글로벌화에 관한 연구 결과' 최종 보고회를 개최하는 가운데 이 같이 밝혔다.
연구용역을 맡은 해양수산연수원, 한국해양대, 산업연구원은 보고서에서 현재 시장 규모가 1조원대인 선박관리업을 활성화 시켜 2020년까지 10만명의 고용인원을 창출하는 10조6천억원 규모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위해 선박관리업체들이 선원을 고용할 수 있는 선원고용권을 도입하고, 현재 선원관리가 대부분인 선박관리업의 범위를 선박매매와 회계관리로 넓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선박관리전문가를 양성하고 해외 선주를 유치하기 위한 인센티브제 도입 등을 제안했다.
국토부는 관계자는 "이번 용역결과를 바탕으로 세부적인 추진 로드맵을 확정해 단계적을 추진할 계획이다"며 "2020년까지 4천850척을 관리하는 선박관리업 세계 1위의 국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