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기업·학교·지역사회간 모범적 상생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 기대

삼성전자는 전남대학교와 내년부터 4년간 160명 규모의 ‘기업맞춤형 인재육성 프로그램’을 신설하는 협약을 13일 체결했다.

이 날 협약식에는 삼성전자 윤주화 사장과 전남대학교 김윤수 총장이 참석해 미래 IT 인재 육성을 위한 의지를 다졌다.


삼성전자는 매년 40여명씩 일정 자격을 갖춘 대상자를 선정해 ▲매월 장학금을 지급하고 ▲삼성전자 사업분야에 특화된 커리큘럼 수강 ▲인턴십 기회 및 입사 특전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체계적인 인재육성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학교에 별도의 연구비 및 운영비도 지원하기로 했다.


이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삼성전자는 기업맞춤형 교과과정을 편성해 지방사업장 필요인력을 안정적으로 수급할 수 있게 됐으며 지방소재 대학생의 취업 기회를 확대함은 물론, 장기적으로는 학교와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윈-윈 협력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이 프로그램은 ▲가전 기구과정 ▲금형 과정 ▲LCD설계/공정 과정 ▲IT과정 등 4개 과정으로 운영되며, 전자컴퓨터공학·기계 시스템공학·전기공학·응용화학공학·신소재공학 등의 학과가 참여해 올 11월 첫 대상자를 선발, 내년 3월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대상자는 먼저 학교추천을 받아 SSAT(삼성전자 직무능력 시험)와 면접, 인턴십 등 소정의 절차를 거쳐 선발되며, 이렇게 선발된 학생이 4학년 과정 중에 정해진 커리큘럼을 이수하면 삼성전자 입사자격을 얻게 된다.


전남대학교는 이 4개 과정 운영 외에도 삼성전자와 연계한 산학과제를 진행할 전담센터도 운영예정이다.


김윤수 전남대학교 총장은 “삼성전자와의 협력은 기업이 지역 단위의 주요 대학과 연계해 지역 내 구인난 해소 및 인재를 육성함으로써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감을 밝혔다.


삼성전자 윤주화 사장은 “이같은 프로그램은 기업 입장에서도 인재를 대학에서부터 전략적으로 육성함으로써 우수인재를 사전에 확보할 수 있고, 입사 후 재교육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앞으로도 이같은 활동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전남대학교와의 협력 외에도 IT관련 강원대·부산대 등 14개 대학, LCD 및 반도체 관련 6개 대학 등 총 18개 대학과 유사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총 3천명 이상의 전문 인재가 양성되었다.

또한 이 중 대부분의 인력이 삼성전자에 입사하는 등 좋은 성과를 거두어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업계 대표적 산학협력 프로그램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