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10대 핵심소재 상용화 사업 본격화


정부가 세계시장을 선점할 10대 핵심소재 산업을 키우기 위한 'WPM(World Premier Materials)' 사업단 구성을 끝내고 핵심소재 상용화 사업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WPM 사업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거나 시장을 창출하고 지속적인 시장지배력을 갖는 세계 최고 수준의 10대 핵심소재를 상용화함으로써 2018년까지 일자리 3만개를 창출하고 매출 40조원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 프로젝트다.

지경부는 30일 서울 르네상스호텔에서 최경환 장관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김영환 위원장, WPM 10개 사업단 대표기업 및 참여 중소기업 대표자가 참석한 가운데 WPM 사업단 출범ㆍ투자 협약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서 지경부는 WPM 핵심소재로 선정된 10개 사업단에 2018년까지 1조원의 연구개발자금을 지원하겠다고 확인했다.

10개 사업단은 이와는 별도로 연구개발(R&D) 자금 1조원을 출자하고 정부지원금의 10배에 달하는 10조원의 사업화 자금을 추가 투자하기로 했다.

지경부는 "정부 지원을 조건으로 기업들이 사업화를 위한 구체적인 투자 내용을 확약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는 기술개발 단계에서부터 사업화에 대한 성공의지를 분명히 하겠다는 각 사업단의 각오를 드러낸 것"이라고 평가했다.

지경부에 따르면 현재 WPM 사업에 참여하는 기관은 대기업 56곳, 중견ㆍ중소기업 92곳, 대학 및 연구소 104곳 등 252곳으로, 정부 지원금 가운데 65%가량이 중소기업과 대학, 연구소 등에 집중된다.

또 대기업은 50% 이상이 소재 수요기업으로서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 설정 및 개발된 소재의 특성 평가를 위해 사업에 참여해 정부 지원금 대비 1.5배 이상의 자금을 중소기업 및 대학 연구소의 기술 개발비로 지원할 예정이다.

앞서 지경부는 지난달 10대 핵심소재 사업으로 '친환경 스마트 표면처리 강판'(총괄주관기관ㆍ포스코), '수송기기용 초경량 마그네슘 소재'(포스코), '에너지 절감·변환용 다기능성 나노복합소재'(LG화학), '다기능성 고분자 멤브레인 소재'(코오롱FM),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플라스틱 기판 소재'(제일모직)를 선정했다.

이밖에 '고에너지 2차전지용 전극 소재'(삼성SDI), '바이오 메디컬 소재'(아미노로직스), '초고순도 실리콘카본(SiC) 소재'(LG이노텍), 'LED용 사파이어 단결정 소재'(사파이어테크놀로지), '탄소저감형 케톤계 프리미엄 섬유'(효성)가 사업 대상에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