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규현 기자] 서울지하철 지하 상가에 대기업이 속속 진출하면서 상가매점을 점점 잠식해가고 있어, 가판대와 간이매점 등을 운영하는 노인, 장애인, 한 부모 가정 등 취약 계층의 생계가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서울시의회 김기옥 의원(민주당, 강북1)은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이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하는 5~8호선의 경우, 전체 상가매점의 43.3%를 대기업과 계열사들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김 의원이 지목한 대기업 또는 계열사는 롯데(세븐일레븐), GS(GS25, 미스터도넛), LG(더페이스샵), SPC그룹(던킨도너츠) 등이다.
9호선의 경우 상가임대 대행사업을 대기업인 GS리테일에 맡긴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특히 민자노선인 서울시메트로9호선은 총 28개 역사의 상가임대 대행사업 계약을 GS리테일과 체결함으로써 상가운영권 자체를 대기업의 손에 맡기고 있다"며 "9호선에는 LG생활건강이 직영하는 화장품 매장(뷰티플렉스)이 대부분 역에 들어서 있다"고 말했다.
또 "서울메트로가 운영하는 1~4호선도 GS리테일이 지난해부터 도넛 전문점인 미스터 도넛 매장을 여는 등 대기업의 진출이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가 지하철의 적자보전과 관리상 편의를 내세워 지하철 상가의 임대사업자를 공개경쟁입찰 방식으로 선정, 자본력을 앞세운 대기업들이 지하철 상가를 독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취약계층의 생존권 보호 차원에서 지하철역 상가에 대한 대기업의 진출을 제한하는 '제한적 공개경쟁입찰' 방식으로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과 관련 조례를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