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잡지는 글로벌판에서 `아시아의 새로운 기업 모델'이라는 논평과 별도로 3개 면을 할애해 삼성의 신수종 사업 진출 내용을 자세히 소개했으며, 아시아판에서는 온라인 표지기사로 다뤘다.
세계 유력 경제 주간지인 이코노미스트가 개별 기업, 특히 그동안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던 `재벌'에 대해 우호적인 시각의 논평과 특집기사를 실은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이 잡지는 논평에서 "삼성의 최근 성공은 놀라운 것이지만 그 전략은 모방하기 쉽지 않다"면서 "삼성은 1938년 작은 국수 사업으로 시작해 현재 83개 방계 기업을 거느리고 전체 수출의 13%를 차지하는 그룹으로 성장했다"고 칭찬했다.
이어 "삼성이라는 김치에서 가장 매운 고추는 삼성전자"라면서 "초기 투박한 라디오를 만들었던 삼성전자는 현재 매출 기준으로 세계 최대 기술회사이며 가장 많은 TV를 만들어내고 있고, 조만간 노키아를 밀어내고 세계 최대 휴대전화 제조업체로 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에서는 오직 IBM만이 삼성보다 많은 특허를 출원하고 있으며, 삼성은 한때 모델로 삼았던 일본의 소니 등을 추월했고, 전세계 경영인으로부터 총애를 받았던 미국의 대기업 GE와 흡사한 `아시아의 GE'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고 삼성을 소개했다.
그러면서 삼성의 성공에 대해 집중적으로 평가했다.
먼저 이코노미스트는 "삼성은 가족이 지배하고 위계적이며 수익보다는 시장점유율을 중시하는 불분명하고 복잡한 소유구조를 갖고 있다"면서 "그러나 최소한 다른 사람들의 아이디어를 개선하는 면에서 놀라울 정도로 창의적"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삼성의 경영자들은 단기적 수익보다 장기적인 성장에 더 관심을 두는 인내심을 발휘하고 있고, 직원들에 대한 동기 부여에도 능하다"고 평했다. 또한 그룹이 전략적으로 사고하고, 신흥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노력하며 대규모로 투자한다는 점을 존경할만한 사례로 꼽았다.
이 잡지는 삼성그룹은 2020년까지 신사업 분야에서 모두 500억달러의 매출을 달성할 것이고, 삼성전자는 4천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을 소개했다.
이코노미스트는 그러면서 "삼성은 글로벌 경영진들이 연구할만한 성공 스토리가 가득한 존경할만한 기업이고 창업주 고 이병철 회장 일가가 지향한 바와 같이 인내심 있고 과감한 기업"이라고 극찬했다.
또한 "삼성의 가족경영 체제는 복잡한 순환출자 구조로 유지되는데 이는 기업의 수장이 고 이병철 회장이나 이건희 현 회장처럼 현명할 경우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서 "그러나 후계 수업 중인 손자가 이에 부합하지 못할 경우 GE, 소니, 노키아 같은 기업들과 비교해 주주들이 그를 쫓아내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잡지는 끝으로 "삼성은 강력한 기업문화와 장기적 전략을 바탕으로 기업 활동에 관대한 정책 환경을 적절히 활용한 가족 경영 기업으로 아시아의 새로운 기업 모델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면서도 "삼성의 성공에 축하를 보내지만 성공이 영원할 것이라는 기대는 금물"이라고 충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