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생계형 기업가 비중은 선진국보다 높았다.
'혁신의 아이콘'이었던 스티브 잡스의 사망을 계기로 혁신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혁신을 주도하는 기회형 기업가가 늘어나야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9일 산업연구원 김원규 연구원은 '우리나라 기업가 정신의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기업가 정신의 지표인 비(非)농림어업 자영업자 비율과 업력 3.5년 미만 기업가 비율(TEA)이 모두 2000년 대 초반 이후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활동인구 대비 비농림어업 자영업자 비율은 1980년 16.8%에서 2002년 21.5%까지 상승했다가 그 이후 계속 하락해 2010년에는 18.7%에 그쳤다.
동태적 기업가 정신 지표로 활용되는 TEA 지표(18~64세 인구 대비 업력 3.5년 미만 기업가 비율)는 2002년 14.5%에서 2010년 6.6%로 떨어졌다.
이 중에서도 별다른 직업 선택의 여지가 없는 생계형 기업가 비율은 4.1%에서 2.6%로 낮아졌고, 혁신을 주도하는 기회형 기업가 비율은 8.6%에서 3.2%로 하락해 기회형 기업가 비율의 하락폭이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0년 기준 업력 3.5년 미만 기업가 중 생계형 기업가 비중(39%)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21%)에 비해 높은 반면, 기회형 기업가 비중(49%)은 미국과 유럽연합(EU) 평균(51%)이나 OECD 평균(53%)에 비해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