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금융센터와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올해 들어 12개 주요 신흥국 통화가치 변동폭과 각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수출 비중을 비교한 결과, 한국의 수출증대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12개 신흥국 가운데 GDP 대비 수출 비중이 가장 높은 나라는 말레이시아지만, 올해 들어 링기트화는 달러화 대비 절하폭이 3.4%에 그쳐 수출 붐을 뒷받침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FT는 평가했다.
터키의 리라화는 12개 신흥국 중에 가장 큰 전년 말 대비 17.5%의 절하율을 기록했으나 GDP 대비 수출 비중이 16.5%에 불과해 통화절하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효과가 오히려 더 큰 것으로 평가됐다.
신흥국의 대표주자격인 브릭스(BRICs, 브라질ㆍ러시아ㆍ인도ㆍ중국) 중 인도와 브라질 통화는 미 달러화 대비 9.4% 절하됐으나 역시 GDP 대비 수출 비중이 13.1%와 9.7%에 불과해 통화절하에 따른 수출증대 효과는 미미하다고 FT는 지적했다.
FT는 통화 절하폭과 GDP 대비 수출 비중 양면에서 가장 유리한 조건을 가진 곳은 한국이라고 결론지었다.
FT는 "원화는 올해 들어 미 달러화 대비 5.5% 절하돼 다른 신흥국 통화보다 큰 폭으로 떨어지지는 않았지만, GDP 대비 수출 비중이 45.8%에 달해 통화 가치 절하에 따른 수출증대 효과는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다소 특이한 양상을 보였다.
FT는 "중국의 수출규모가 지난해 기준 1조5천814억달러로 12개 신흥국 중 가장 크지만 GDP 대비 수출 비중은 26.9%에 불과하다"며 "달러화 대비 위안화가 3.4% 절상됐음에도 수출에 미치는 충격은 극히 제한적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