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부광약품 리베이트 수사에 업계 긴장

[재경일보 정순애기자] 검찰이 19일 부광약품을 상대로 리베이트 수사에 착수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관련 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1일 서울 경희의료원 의사와 제약사 간 리베이트 관련 의혹으로 불거진 사건의 경찰수사가 진행 중인데다 이번에 잇따라 리베이트 관련 문제가 불거졌고 지속적으로 지적돼 오던 리베이트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입장 때문이다.

부광약품이 건강보험공단과의 약가협상 과정에서 건강보험공단에게 금품을 건넸다는 혐의를 받고 압수수색 받았다.

서울중앙지방검찰은 19일 오전 9시께부터 서울 신대방동에 위치한 부광약품 본사에 20여명의 조사단을 파견했다.

부광약품은 건강보험공단과 최초 약가 협상에서 1000원대이던 정신분열증 치료제 로나센 가격을 재협상 결과 2700원까지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따라 부광약품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측에 뇌물을 주고 특혜를 받은 것 아니냐는 혐의가 불거졌다.
 
검찰은 이날 부광약품 사장실을 비롯해 약가협상 담당 부서 등에서 관련 서류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번에 확보한 자료를 분석한 뒤 다음 주부터 부광약품 임직원, 당시 협상에 참여했던 국민건강보험공단 관계자 등을 소환해 조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11일 서울 경희의료원 의사들이 모 제약사가 제공한 리베이트 분배 문제를 두고 서로에게 주먹질을 했다는 의혹이 불거져 경찰이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 강남경찰서는 경희의료원 소속 B 교수가 폭행 당했다며 같은 병원의 A 과장을 서울 중앙지검에 고소한 사건을 배당받아 수사하고 있다.

또 경찰은 경희의료원 순환기내과에 실제 모 제약사의 리베이트가 제공됐는지 이로 인해 의사 간 다툼의 원인이 됐는지, 진상규명위원회를 꾸린 경희의료원과 경희대 측도 병원, 의사 등을 상대로 리베이트가 있었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이처럼 관련 업계에서는 이번 달에만 잇따라 두차례 리베이트 문제가 불거져 바짝 긴장하고 있다.

업계에따르면 다국적 제약사나 국내 제약사가 리베이트 없이 영업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리베이트는 뿌리 깊은 관행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구조적으로 갑인 처방권자 의·약사와 을인 제약사의 관계가 존재하는 한 처방권자의 요구에 수긍할 수 밖에 없기때문이다.

이를 근절하기 위해 보건복지부는 지난 2009년 8월 리베이트-약가연동제를 시행했다. 이는 리베이트가 적발될 경우 해당 의약품의 약가를 인하하는 제도다.

그러나 이 제도는 병원측에서 영업사원에게 리베이트를 요구하는 영업환경까지는 해결하지 못했다. 이경우 영업환경 악화에 따른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적이 저조한 사원이 떠안아야 한다는 불안감으로 자리하게 했다.

때문에 복지부는 지난 2010년 11월 의약품 리베이트 쌍벌제를 도입했다. 의약품 리베이트 쌍벌제는 리베이트를 준 쪽(제약사)과 받은 쪽(병의원·약국)을 함께 처벌하는 제도다.

이 같은 상황에서 업체는 갑을의 구조적 관계에 놓여 있는 등의 이유로 리베이트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입장이다.

D제약사 관계자는 "리베이트는 계속해서 문제가 되고 있다. 전문약을 50%정도 취급하고 있는 자사의 경우 (갑을의 구조적 관계에 놓여 있어)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고 했다.
 
또 다른 D사 관계자는 "리베이트 근절 관련 법이 시행되기 전 처방권을 쥐고 있는 의사와 약사 등에게 판매 활성화, 촉진 등을 이유로 리베이트와 관련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지적돼 왔고 자사는 물론 산업전반의 판촉부분에도 있을 듯하다. 실제 일부 업체에서 마케팅 활동, 판촉 수단에 리베이트는 없잖아 있었다. 그러나 업계는 법시행 후 리베이트 근절에 동참하는 분위기다. 이번에 불거진 사건들은 리베이트 관련 제도 시행의 과도기 상황으로 보인다. 현재 혼란스러운 과도기 분위기에서 리베이트 문제가 터져나오고 있는 거 같다. 이번에 터진 리베이트 관련 문제도 법시행 이후인지 시행 전인지 조사 결과를 봐야 알 듯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