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낸드 플래시 32개월만에 최저·D램 값도 '바닥'

[재경일보 김윤식 기자] D램과 낸드 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의 가격이 또다시 일제히 하락했다.

하향곡선 일변도에서 최근 품목에 따라 혼조세를 보여 가격 반등에 대한 기대감을 일으켰지만, 회복되지 않는 세계 경기가 계속해서 반도체 가격 상승의 발목을 잡고 있다.

1일 대만의 반도체 시장조사 업체인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대표적인 낸드 플래시 제품인 16Gb(기가비트) 2Gx8 MLC(멀티레벨셀)의 10월 후반기 고정거래가격(메모리 반도체 제조사가 완제품을 생산하는 고객사에 납품하는 가격으로, 한 달에 두 번 집계)은 2.67달, 10월 전반기의 2.83달러보다 5.7%나 급락했고, 2009년 2월 전반기(2.58달러) 이후 32개월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2년 전 최고가였을 때와 비교하면 가격이 반 토막 난 셈이다.

64Gb 8Gx8 MLC도 10월 후반기 6.49달러로 보름 전보다 2.6%, 32Gb 4Gx8 MLC는 3.77달러로 2.1% 각각 떨어졌다.

D램 값도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대표적 D램 제품인 DDR3 1Gb 128Mx8 1066MHz의 10월 후반기 고정거래가격은 이달 전반기와 같은 0.50달러 수준에서 형성됐다. 지난해 5월과 비교하면 5분의 1 이하로 대폭락했다.

또 DDR3 4GB(기가바이트) SO-DIMM 1066MHz는 19.50달러, DDR3 2GB SO-DIMM 1066MHz는 10.50달러, DDR3 2Gb 256Mx8 1066MHz는 1.06달러로 같은 값을 유지했다.

하지만 DDR 256Mb(메가비트) 16Mx16 200/250MHz는 0.84달러로 1.2%, DDR2 512Mb 32Mx16 400/500MHz는 0.94달러로 2.1%, SD램 128Mb 8Mx16 133/166MHz는 0.58달러로 7.9% 각각 하락했다.

이처럼 낸드 플래시와 D램 값이 바닥을 기면서 삼성전자의 3분기 메모리 반도체 매출은 5조5천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7조4천900억원보다 27%나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1조5천900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 3조4천200억원의 절반 이하로 줄었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도 32.1%에서 16.8%로 15.3%포인트 내려앉는 등 수익성도 나빠졌다.

삼성전자는 그나마 흑자를 기록했지만 하이닉스반도체는 영업손실 2천770억원, 영업이익률 -12%의 실적을 기록하며 적자에 빠졌다. 하이닉스는 반도체 값이 지금처럼 원가에 미치지 못했던 2009년 1분기 적자를 기록하고 나서 가격이 본격적으로 뛰면서 흑자로 돌아섰지만, 9분기 만에 다시 적자 전환했다. 3분기 매출도 2조2천910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업계 관계자는 "선진국의 경기 침체로 PC 등 세트(완제품)의 수요가 위축돼 부품인 반도체의 가격이 좀체 치고 올라가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