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국제금융센터 "유로존 재정위기 대책 효과 회의적"

[재경일보 오진희 기자] 국제금융센터는 "유로존(유로화 사용 국가들)의 재정위기 종합대책 효과는 회의적"이라고 전망했다.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열린 `CEO 국제금융포럼'에서 "유럽재정안정기금(EFSF) 규모 확대는 손실보전 비율이 낮으면 투자 유인이 적고, 부실 우려가 있는 특수목적기구(SPIV)에 외국계의 참여가 저조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전망했다.

또 "그리스 국채 헤어컷(손실률)에 대한 비자발적 참여는 신용문제로 인식될 수 있으며, 은행의 자본 재확충 역시 국가별 재정으로 지원할 경우 재정이 악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유로존의 재정취약국과 관련해서는 "그리스는 조기 총선을 전후해 정정불안이 재고조될 것으로 예상되고 단기간 내 재정의 지불능력이 개선되기 어렵다"고 진단했고, "포르투칼은 성장 둔화가 심해지고 국가채무 조정의 필요성이 제기돼 그리스 같은 처지가 될 수 있다"고 위험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탈리아에 대해서는 "정치불안이 감소하고 긴축정책 합의안이 시행돼 불안이 완화할 수 있지만, 정치ㆍ경제적 위험요인이 부각되고 국채금리가 계속 올라 구제금융이 불가피해질 가능성도 만만치 않다"고 지적했다.

중국 경제는  경착륙할 가능성은 낮지만, 경제성장률이 올해 9.2%에서 내년 8.5%로 둔화할 것으로 봤다. 특히 내년까지 누적 하락률이 10~2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부동산 시장의 위축을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꼽았다.

미국은 성장 동력이 고갈돼 경제의 `무동력 운항'이 지속되겠지만 `더블딥(이중 침체)'에 빠질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일본은 경제성장률이 내년에 플러스 전환하겠지만 엔화 강세가 위험요인이라고 지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