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경기침체로 상장사 빚부담 늘어… 1천원 벌어 196원 이자

[재경일보 양준식 기자] 경기침체 때문에 상장사들의 채무상환 부담이 지난해보다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사들은 평균적으로 1천원을 벌어서 196억원 이자로 냈으며, 영업이익으로 이자 감당도 못하는 회사가 23%에 달했다.

5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가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663개사 가운데 비교할 수 있는 612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3분기 누적 이자보상배율은 5.11배로 전년 동기의 6.01배보다 낮아졌다. 1천원을 벌었다면 196원을 이자로 낸 셈으로, 지난해 166원보다 눈에 띄게 부담이 늘었다.

올들어 상장사들의 이자보상배율이 낮아진 것은 이자비용이 감소했는데도 경기침체로 인한 실적악화로 영업이익이 더 많이 줄었기 때문이다.

올해 3분기 누적 이자비용은 금리수준이 낮아진 덕분에 모두 10조4천2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3% 감소했다. 3년물 국고채의 평균금리는 지난해 3.86%에서 올해 3.69%로 떨어졌다.

하지만 경기둔화로 영업이익은 더 큰 폭으로 줄어들어 상장사들의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지난해 63조8천16억원에서 올해 53조2천589억원으로 16.52%나 급감했다.

이자보상배율이 1배 이상인 회사는 470개사(전체의 76.80%)로 전년 동기 대비 49개사 감소했다. 이는 벌어들인 돈으로 이자조차 못 낸 회사가 142곳(23.20%)이나 된다는 뜻이다.

이자비용을 부담하지 않는 무차입 회사 역시 전체의 3.59%인 23개사로 지난해의 47개사(7.68%)보다 많이 줄었다.

* 이자보상배율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수치로 기업의 채무상환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다. 배수가 높을수록 상환 능력이 좋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