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박우성 기자] LG전자는 올해 TV 트렌드가 3D TV 대형화라고 밝히고, 대형 3D TV를 앞세워 본격적으로 글로벌 TV 시장 공략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LG전자는 9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베네치안 호텔에서 'CES 2012' 프레스 콘퍼런스를 열고 올해 전략제품과 혁신기술을 소개했다.
발표자로 나선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인 안승권 사장은 "올해 TV 트렌드는 3D의 대형화"라며 "55인치부터 84인치까지 대형 3D TV 풀 라인업을 올해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 사장은 "3D 콘텐츠가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면서 소비자들이 보다 실감나는 3D 감상을 위해 대형화면을 찾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3D TV는 화면이 커질수록 입체감과 몰입감이 커진다.
안 사장은 또 풀HD 보다 해상도가 4배 높은 84인치 UDTV를 소개하며 "이 제품이 출시되면 눈이 편하고 안경이 가벼운 시네마 3D TV 중에서 화면이 가장 큰 제품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안 사장은 세계 최대 55인치 3D OLED TV를 소개했다.
화면 최소단위인 화소를 제어하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가 스스로 발광해 무한대의 명암비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명암비가 높으면 화질이 보다 밝고 선명하다.
이 제품은 LG전자의 독보적인 시네마 3D 기술이 적용돼, 깜빡임으로 눈이 피곤한 셔터안경 방식 OLED TV와는 차별화된다.
LG전자는 올해 국내시장에 출시한 뒤 해외 주요 국가에도 판매할 계획이다.
업그레이드된 LG전자의 독자 플랫폼 '넷캐스트(Netcast)'도 소개됐다.
올해 출시될 평판TV 라인업 가운데 60% 이상에 탑재되는 넷캐스트는 이전 버전보다 이용이 쉽고 편리해졌으며, 매직 리모컨으로 음성인식이 가능해 사용자 편의성도 크게 높아졌다.
구글 플랫폼을 적용한 스마트 TV도 공개됐다.
LG 구글TV 이용자는 구글 TV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즐길 수 있으며, 매직 리모컨에 쿼티(QWERTY) 자판을 결합해 글자를 입력할 경우에 아주 편리해지게 했다.
안 사장은 신제품TV에 접목될 시네마TV용 칩셋도 공개했다.
그동안 삼성전자는 스마트TV에 자체 칩셋을 사용해왔으나, LG전자는 스마트TV에 인텔 칩셋 등을 사용해 왔다.
안 사장은 "지난 2년간 개발해온 스마트 TV용 자체설계칩셋 L9은 향후 LG 시네마 3D 스마트 TV 경쟁력을 크게 높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LG전자는 병이나 캔 음료를 5분만에 시원하게 만드는 '급속냉장(Blast Chiller)' 기능을 갖춘 스마트 냉장고도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