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박우성 기자] 애플이 디지털 교과서 '아이북2(iBooks 2)'를 출시하고 본격적으로 교육사업에 진출했다.
애플은 19일(현지시간) 뉴욕 구게하임 미술관에서 아이패드를 통해 디지털 교과서를 구현할 수 있는 '아이북2'를 선보였다.
애플의 디지털교과서 출시를 통한 교육사업 진출은 지난해 10월 사망한 창업주 고(故) 스티브 잡스가 생전에 기획했던 것이라는 점과 함께 이번 행사가 잡스 사후 첫 공식발표 이벤트라는 점에서 업계와 언론의 관심이 집중됐다.
필 쉴러 마케팅 담당 선임부사장은 이날 동영상과 애니메이션 등의 구현이 가능한 쌍방향 디지털 교과서 플랫폼 '아이북2'를 소개한 뒤 아이북스토어를 통해 새 전자교과서를 구매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필 쉴러 부사장은 미국의 읽기와 과학, 수학이 전 세계에서 각각 17위와 23위, 31위에 머물러 있는 등 미국의 교육경쟁력이 뒤쳐져 있다고 지적하면서 “교육은 원초적으로 우리(애플)의 DNA 깊숙이 내재돼 있다”고 강조했다.
또 "아이패드로 구현되는 애플의 아이북2라는 플랫폼을 통해 미국의 고등학생들은 세포의 3차원 애니메이션 모델을 볼 수 있고 단어나 용어 풀이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교과서에 밑줄을 긋고 필기를 하는 등 학습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며 "새로운 디지털교과서를 통해 교육의 질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아이북2가 고교교과서에 우선 초점을 맞추는 만큼 교재의 가격은 14.99달러를 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애플은 또 매킨토시 컴퓨터를 이용해 교사들이 교습을 위한 자체 교재를 만들어낼 수 있는 도구인 '아이북 아서(iBooks Author)'와 교수들이 온라인 강의코스를 만들어낼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도 함께 공개했다.
애플은 교과서시장의 90%를 점유하고 있는 피어슨과 맥그로-힐, 호톤 미플린 하코트 등과 제휴했으며, 이들의 교과서 가운데 일부는 당장 구입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미국 언론은 그러나 499달러(한화 56만원 상당)가 넘는 값비싼 아이패드를 소유한 학생들이 아직 제한적이고 현재 학교 교과서 사용시스템 등을 감안할 때 애플이 출시한 디지털교재들이 학교에서 곧바로 채택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