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담합으로 이미지 실추된 삼성, 뒤늦게 대책 마련 나서

[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세탁기, 냉장고, TV, 노트북 등 가격담합 사실이 밝혀져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을 부과받는 등 이미지가 크게 실추된 삼성그룹이 사태 진화에 나서고 있다.

분노한 소비자들의 소송이 이어지고 있는데다 공정위가 최초로 소비자들의 소송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해 발등에 발이 떨어진 상황이기 때문이다.

삼성생명도 담합으로 과징금 처분을 받는 등 이번 담합으로 인해 삼성그룹에 대한 비난이 더 확산될 것이 우려되자 강도 높은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삼성그룹은 25일 담합행위를 해사행위로 규정하고 담합 근절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삼성그룹은 이날 서초동 사옥에서 삼성사장단협의회를 갖고 담합을 뿌리뽑기 위한 대책을 다음달까지 마련해 시행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삼성그룹 준법경영실장인 김상균 사장이 담합 관련 교육 실태 및 대책 마련 계획을 밝혔다.

김 사장은 "담합을 근절하기 위해 2010년부터 컴플라이언스(준법)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임직원 교육을 강화하고 있지만 아직도 근절되지 안았다는 우려가 있다"면서 "담합이 근절되지 않는 근본 원인을 점검하고 다음달까지 종합대책을 마련해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법무, 컴플라이언스 점검 활동을 적극 독려하고 지원해 달라"고 각 사장에게 당부했다.

이어 김순택 삼성 미래전략실장은 "담합은 명백한 해사행위"라며 "사장 책임이라고 생각하고 담합 근절을 위한 근본적이고 구체적이면서 현실적인 대책을 세우라"고 지시했다.

또 "그룹차원은 물론 각 계열사들에게도 대책 마련을 지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담합행위가 적발된 계열사의 최고경영자들도 담합 근절을 위한 의지를 표현했다.

삼성전자 최지성 부회장은 "담합을 부정과 똑같은 행위로 간주해서 무관용으로 처벌하겠다"고 했으며, 삼성생명 박근희 사장은 "감독기관의 지침을 받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담합이 일어났는데 앞으로는 공정거래법을 우선해서 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