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지난해 5월 후 벤처기업 848개 줄어… 벤처창업 급격 위축

[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지난해 5월 이후 벤처기업의 수가 850개 가까이 줄어드는 등 벤처창업이 급격하게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의 수가 줄어든 것은 정보기술(IT) 버블 사태가 벌어졌던 지난 2002∼2003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또 핵심 기술을 보유한 석·박사 출신 고급인력들의 고품질 벤처창업이 줄어들면서 벤처창업의 질이 더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는 국내외 경제불안으로 인해 창업환경이 열악해지고 있는데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기업가적인 도전정신보다는 안정을 추구하는 성향이 우리사회에 팽배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31일 한국거래소와 벤처기업협회, 중소기업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현재 벤처기업의 수는 2만6천148개로 사상 최대였지만 벤처창업 열기는 급속하게 식고 있다.

지난해 5월 283개가 줄어든 것을 시작으로 6월 400개, 9월 126개, 12월 228개 등 5월 이후에 총 848개가 순감했다. 지난해 1∼4월까지 2천351개나 늘어났던 것과 전혀 다른 양상이다.

지난해 전체적으로도 벤처기업은 6.10% 증가에 그쳐 2004년(3.44%) 이후 최저수준을 나타냈다.

벤처기업의 증가율은 2005년 22.15%, 2006년 25.54%, 2007년 14.71%, 2008년 9.89%, 2009년 22.67%, 2010년 30.35% 등으로 리먼사태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2007년과 2008년을 제외하면 20% 이상을 줄곧 유지했었다.

석·박사 출신들의 벤처창업도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협회가 지난해 5∼7월 2개월간 2천여개 표본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박사가 대표이사인 기업의 비중은 9.4%로 10% 아래로 떨어졌다. 2009년에는 이 비율이 13.0%에 달했고, 2010년에도 10.1%로 10%를 웃돌았다.

석사출신 대표이사 비중도 2009년 18.7%에서 2010년 18.5%, 2011년 18.2%로 점점 떨어지고 있다.

석·박사 출신의 감소는 벤처기업의 기술력 약화로 이어지고 있다.

2천여개 표본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주력 제품에 국내 유일의 기술을 적용한 벤처기업의 비중이 2009년에는 17.9%였으나 지난해에는 12.7%로 급감했다. 세계적으로 유일한 기술을 보유한 벤처기업의 비중도 같은 기간 6.7%에서 4.2%로 떨어졌다.

벤처기업의 핵심 인력들을 대기업에서 빼내가고 있는 것도 벤처기업 인력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벤처업계에서는 대기업이 상생차원에서 인력 빼가기를 지양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내 금융 여건상 기술만으로 대출받기가 어렵고 중견 벤처기업 지원 제도가 없다는 것도 벤처기업의 창업과 성장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자금 문제로 인해 기술이 있어도 벤처창업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벤처기업의 `꿈'인 코스닥 상장도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 2만6천여개에 달하는 벤처기업 중 코스닥 상장사는 현재 303개로 0.12%에 지나지 않으며, 신규상장도 2007년 52개에서 2011년에는 31개로 줄었다.

KAIST 배종태 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는 벤처기업 창업감소와 관련해 "실패에 대한 부담을 지지 않기 위해 기존 사업에 치중하는 경우가 많다"며 "사회적으로 위험부담을 줄여주고 경쟁력 있는 아이디어를 지원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허영구 벤처기업협회 정책연구팀장은 "사회적으로 창업보다는 안정적인 취업을 선호하니 창업이 위축된다"며 "벤처가 활성화되려면 기업가 정신의 붐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