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중기청 실태조사 결과.."정보소외 심각"
정부 자금지원 6.9%, 공공기관 납품 17.2% 그쳐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기자 = 전국 장애인기업 중 절반 이상이 정부의 지원정책이 있는지도 모르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실제로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아 본 업체 역시 열 곳 중 한 곳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어 정책의 실효성 제고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1일 중소기업청이 전국 2천500개 장애인기업을 대상으로 한 '2011년 장애인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의 65.5%가 '정부의 지원정책이 있다는 것을 모른다'고 답해 '인지하고 있다'고 밝힌 업체(34.5%)를 훨씬 웃돌았다.
이처럼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으면서 '정부의 자금지원을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한 곳은 전체의 6.9%에 그쳤으며 '공공기관 납품에 참여해 본 적 있다'고 밝힌 업체도 17.2%에 머물렀다.
공공기관 입찰이나 정부 자금지원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는 증명서인 '장애인기업 확인서'를 발급받은 업체도 19.4%에 불과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장애인기업의 절반이 넘는 55.8%가 '자금사정에 곤란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13.1%는 '외상대금 지급을 지연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공과금, 세금 등을 연체하고 있다'(12.5%)는 업체들도 적지 않았다.
'직원들의 월급을 지급하지 못하고 있다'는 기업도 2.4%를 차지했다.
기업 형태는 개인기업(88.7%), 회사법인(10.8%), 기타법인(0.5%) 순으로 나타나 대부분 업체가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체당 평균 종사자 수는 3.14명이었다. 직원 중 장애인의 수는 평균 1.27명으로 40.6%를 차지했다.
장애인기업들의 경영을 힘들게 하는 요인으로는 자금조달의 어려움(31.9%), 판매선 확보 등 마케팅 관리 문제(25.8%), 인력확보 부진(8.4%), 기술개발 어려움(6.1%) 등을 꼽았다.
중소기업계 관계자는 "많은 장애인 기업들이 자금에 곤란을 겪고 있지만 실제로 지원정책의 존재를 알고 이용하는 기업들은 극히 일부분에 그치고 있다"며 "정책의 실효성이 낮다는 의견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어려움에 대해 많은 논의가 나오고 있지만, 장애인기업은 그 중에서도 더욱 소외된 기업"이라며 "정부의 지원정책 확대와 적극적인 홍보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용어설명>
▲장애인기업 = 장애인이 소유하거나 경영하는 기업이거나 해당 기업에 고용된 상시근로자 총수 중 장애인의 30% 이상인 기업. 장애인기업활동촉진법 등에 따라 창업지원과 자금대출, 공공기관 입찰 등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다. 중기청은 2년에 한 번씩 장애인기업의 실태와 애로사항을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