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박현규 기자] 결함이 발견된 수출용 자동차의 엔진 부품이 빼돌려져 국내에서 일부 유통된 정황이 포착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경찰 수사 결과 결함이 있는 수출용 자동차의 부품이 빼돌려져 유통된 것이 확인되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의 제품
관리가 허술하게 이뤄지고 있음이 드러나는 것이어서 이미지 실추 등 파장이 예상된다.
또 결함 차량의 부품 유통에 따른 소비자
피해도 우려되고 있다.
서울 송파경찰서는 한 중고차업자가 성능에 문제가 있는 자동차 부품을 빼돌려 정상 제품인 것처럼 중고차 매매 시장에서 판매했다는 첩보를 입수, 수사에 착수했다고 27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이 업체 운영자들은 품질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쏘나타, 제네시스 등 현대차 승용차에 사용되는 수출용 엔진부품 수백개를 빼돌려 400만∼500만원씩 받고 서울 지역 일부 중고차매매센터에 판매한 혐의를 받고 있다.
주범 A씨는 엔진 매매사업에 투자하라며 피해자들을 모집한 뒤 자신이 현대·기아차그룹에 등록된 사업자이고 청와대 고위층에도 잘 아는 사람이 있다고 이들을 안심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이 부품은 해외에 있는 완성차공장에 납품됐다가 조립 과정에서 문제가 발견돼 한국으로 돌려보내졌지만 폐기돼지 않고 시장에 유통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경찰 관계자는 불량 부품 국내유통과 관련해 "해체돼 폐기처리돼야 할 결함차량 부품이 시장에 유통된 사실 자체가 문제"라며 "만일 동남아 등 해외에도 이런 부품이 넘어갔다면 한국산 자동차의 브랜드 위상에 커다란 타격이 올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경찰은 자동차관리법이나 폐기물관리법 등 처벌 법규를 검토하고 있으며, 거짓 정보에 속아 투자금을 날린 피해사례가 확보되면 사기 혐의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한편, 경찰은 부품이 빼돌려진 경위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현대·기아차그룹 관계자까지 수사 선상에 올려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모비스 측은 "해당 부품은 현대차에 납품하는 협력사에서 생산한 것으로 우리 회사와는 관계가 없다"며 "경찰 의뢰로 부품시장 현황 조사 등에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