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이 올해 10대 재벌그룹 총수 가운데 배당금을 가장 많이 받게 됐다. 새누리당 정몽준 전 대표와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2,3위에 올랐다.
6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공기업과 민영화된 공기업을 제외한 자산 순위 10대 그룹 총수들의 올해 12월 결산법인 배당금(중간배당 포함)은 지난해 2천230억8천만원보다 23.1% 감소한 1천715억원이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0대 그룹 총수의 배당금이 전년보다 줄어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가장 많은 배당금을 받게 된 정몽구 회장은 배당금이 지난해 399억4천만원에서 올해 456억원으로 14.2%나 급증했다.
정 회장은 현대차에서 199억4천만원, 현대모비스에서 118억6천만원, 현대글로비스에서 64억8천만원, 현대제철에서 53억4천만원, 현대하이스코에서 20억원 등의 배당금을 각각 받는다.
반면에 지난해 574억7천만원의 배당금을 받아 1위에 올랐던 새누리당 정몽준 전 대표는 올해 배당금이 46.3%나 급감한 308억7천만원을 기록하며 2위로 물러섰다.
정 전 대표가 최대주주인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6.7% 줄어든 2조6천128억원이어서 주당 배당금도 7천원에서 4천원으로 낮췄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배당금도 전년 대비 44.0%나 감소한 285억9천만원에 그치며 3위를 기록했다.
이 회장은 지난해 3월 결산법인인 삼성생명의 배당금을 합쳐 역대 최고액인 1천340억원의 상장사 배당금을 받았지만, 올해는 주력사들의 실적이 상대적으로 부진해 배당금이 줄어들었다.
이 밖에 구본무 LG그룹 회장은 전년 대비 2.0% 늘어난 191억원,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SKC&C 주식 매각으로 인해 전년 대비 14.6% 줄어든 190억6천만원, 허창수 GS그룹 회장은 전년 대비 3.5% 증가한 120억5천만원을 각각 배당금으로 받는다.
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계열사 실적 악화로 전년 대비 25.0% 감소한 76억4천만원,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전년과 동일한 63억9천만원, 박용현 두산그룹 회장은 두산의 중간배당을 합쳐 20.0% 증가한 18억4천만원을 각각 배당금으로 받는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대주주로 있는 대한항공의 영업이익 급감으로 인해 배당금이 지난해 38억1천만원에서 올해 3억3천만원으로 크게 줄어들어들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