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펀드 계열사 몰아주기 여전… 금융당국 경고에도 '마이동풍'

[재경일보 양준식 기자] 금융당국이 펀드 판매사들에 계열사 몰아주기 관행을 개선하도록 일종의 경고 메시지를 보냈지만 대기업 증권사, 은행, 보험의 계열 자산운용사 펀드 팔아주기 관행이 고쳐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금융당국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12월 몰아주기에 제동을 거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는 `펀드 판매시장 선진화 방안'을 발표했지만 그 이후에도 27개 펀드 판매사(설정액 5천억원 이상 기준) 가운데 59.3%인 16곳의 계열사 판매 비중이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셋생명은 계열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과 미래에셋맵스자산운용의 펀드상품 판매 비중이 지난해 11월 말 94.06%에서 올해 1월 말 94.27%로 소폭 상승하며 90% 수준을 지켰다.

KB증권의 계열사 펀드 판매비중는 지난해 11월 말 55.47%에서 올해 1월 말 68.42%로 13%P 가량이나 증가했고, 같은 기간 삼성증권은 53.24%에서 54.64%, 한화증권은 39.89%에서 44.74%, 한국투자증권은 43.76%에서 44.22%로 각각 늘어났다.

4대 금융지주 은행을 비롯한 은행과 일부 보험사도 계열사 몰아주기가 높은 수준에서 현상 유지하거나 소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은 68.51%에서 69.10%, 국민은행은 52.63%에서 53.08%, 하나은행은 42.78%에서 43.94%, 우리은행은 38.34%에서 38.92%로 각각 늘었다.

농협중앙회도 58.94%에서 58.99%, 대한생명은 76.17%에서 80.44%로 각각 소폭 증가했다.

반면 산업은행은 89.12%에서 72.52%로, 삼성생명은 67.42%에서 53.76%로, 대우증권은 23.86%에서 12.44%로 각각 10%P 이상 줄어들었다.

금융위는 계열사 상품 판매 비중이 지나치게 높은 판매사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비중을 완화할 수 있도록 유도할 예정이며, 계열사 펀드를 차별적으로 우대하는 행위 등을 불건전 영업행위로 규정하는 작업 등을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진행하고 있다. 금융발전심의위원회는 계열사 판매 비중을 25% 수준에서 법령으로 직접 제한하는 방안까지 검토했으나 자율 완화로 무게가 실린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 관계자는 "계열사 펀드를 차별적으로 우대하지 않도록 하는 충실의무가 구체화하는 등 계획했던 조치들을 실행에 옮기면 점차 계열사 판매 비중이 줄어들 것"이라며 "1분기에는 펀드 판매사의 계열사 판매 비중을 일제히 점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