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그룹은 이재현 회장과 이미경 부회장을 비롯한 계열사 최고경영진들이 지난 3일부터 2박 3일 동안 베트남의 수도 호찌민에서 `CJ 글로벌 컨퍼런스`를 가졌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글로벌 컨퍼런스에는 이관훈 CJ주식회사 대표를 비롯해 김철하 CJ제일제당 대표, 허민회 CJ푸드빌 대표, 이해선 CJ오쇼핑 대표, 김성수 CJ E&M 대표, 이현우 CJ대한통운 대표, 손관수 CJ GLS 대표, 변동식 CJ헬로비전 대표 등 △식품∙식품 서비스 △바이오 △신유통 △엔터테인먼트∙미디어 전 계열사의 최고경영진들이 총집합했다.
이재현 회장은 이 자리에서 “베트남에 제3의 CJ를 건설하겠다”고 야심차게 밝혔다.
이 회장은 “베트남은 연령대가 젊고 우수한 인력이 많으며, 높은 경제성장률 등 여러 장점을 갖고 있어 중국에 이어 가장 매력적인 국가다. 국내 산업은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 등 건전한 산업생태계 조성에 노력하고, CJ의 미래가 글로벌에 있는 만큼 해외 공략에 주력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회장은 특히 상대국 문화에 대한 존중을 강조하며 “베트남 사람과 같이 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임하자”며 적극적인 현지화를 주문했다.
CJ는 베트남 내수시장 뿐 아니라 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 등 아세안지역에 진출하는데 교두보 역할을 하는 지리적 중요성을 감안해 새로운 글로벌 전초기지로 베트남을 낙점했다.
베트남은 인도네시아, 필리핀과 더불어 소위 ‘VIP’국가로 불리며, 이들은 중국∙인도∙브라질∙러시아 등 4개국을 일컫는 브릭스(BRICs)와 어깨를 견줄 차세대 국가군으로 꼽히고 있다. 이들 국가들은 중국을 포함한 브릭스 국가들이 인플레 압박과 고성장 이후 성장통에 시달릴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전세계의 생산기지이자 소비시장으로서의 브릭스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베트남은 낮은 인건비와 세제혜택 등을 앞세워 제2의 중국, 포스트 차이나로 각광받으며 2000년 이후 연평균 7%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CJ는 현재 베트남 전역에 △베이커리 △홈쇼핑 △극장 △물류 △사료 △농수산물 소싱 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진출해있다.
지난 1996년 베트남에 첫 사무소를 개설한 이후 2001년 사료공장을 준공했으며, 2007년 뚜레쥬르를 앞세워 베이커리 시장에 진출했다. 지난해에는 TV홈쇼핑 개국과 함께 베트남 최대 멀티플렉스 영화관인 메가스타를 전격 인수해 한류 열풍을 주도하고 있다.
CJ그룹 관계자는 “기존 사업 외에 △방송 콘텐츠 공급 및 제작 △음악 공연 △영화 제작 및 배급 등 문화 콘텐츠 사업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지속 투자로 고용을 늘리고 인력을 양성하는 동시에 사회공헌활동도 강화해 모범적인 외자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각오다.
CJ그룹내 최고경영진들을 대상으로 한 현장교육의 일환인 CJ글로벌 컨퍼런스는 전세계에서 가장 역동성을 보유하고 미래성장성이 높은 신시장 현장에 직접 모여 가치를 공유하며 향후 CJ 청사진을 그리는 자리로, 지난 2006년에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글로벌 컨퍼런스를 열었으며 이전에도 미국 LA, 싱가포르 등지에서 개최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