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한류문화상품 수출 100달러 늘면 소비재 수출 412달러 늘어"

[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한류문화상품 수출이 100달러 늘어나면 소비재 수출은 412달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간 우리나라 수출 대상국 92곳에 대한 문화상품과 소비재 수출액을 조사해 29일 발표한 `한류수출 파급 효과 분석 및 금융지원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문화상품 수출이 1% 증가할 때 소비재 수출이 0.03% 늘어나 문화상품 수출이 소비재 수출을 견인하는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사실이 입증됐다.

한류의 수출 견인 효과가 0.03%임에도 소비재 수출액이 급증한 것은 이들 품목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소비재 항목별로는 화장품을 제외한 IT제품, 의류, 가공식품에 미치는 효과가 컸다. 항목별 수출 견인 효과는 가공식품 0.07%, 의류 0.051%, IT제품 0.032% 등 순이었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문화상품 수출이 100달러 증가할 때 휴대전화나 가전제품 등 IT제품 수출이 평균 395달러 늘어나고, 의류와 가공식품은 평균 35달러, 31달러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수출지역별 효과는 다소 달랐다.

아시아에서는 CD나 테이프 등 음악 수출이 화장품 수출을 이끄는 효과가 높았고, 드라마나 오락프로그램 등 방송 콘텐츠는 휴대전화와 컴퓨터 등 IT제품 수출에 도움이 됐다.

중남미에서는 CD나 테이프 등 음악 수출이 휴대전화와 컴퓨터 등 IT제품 수출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해외경제연구소 김윤지 박사는 "문화산업 수출이 현 단계에서는 직접적인 경제효과가 높지 않아도 기타 상품의 수출에 미치는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입증됐다"며 "케이팝(K-pop) 등 문화산업 수출 지원을 더욱 늘려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