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영은 기자] 이명박 대통령이 제2연평해전이 벌어진 지 10년 만에 군 통수권자로서 처음으로 기념식에 참석했다.
그동안 북한의 공격을 받고 전사한 6명의 전사자 유족 등은 명예회복 차원에서 대통령이 참석하기를 희망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기념식이 정부가 주관하는 마지막 기념식이 될 수도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해 최근 중남미 4개국 순방을 떠나기에 앞서 기념식 참석을 참모진에게 지시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나라가 2002 한일 월드컵에 빠져 있던, 특히 우리나라와 터키의 3,4위전이 열렸던 2002년 6월29일 발생한 제2연평해전에 대해 당시 햇볕정책을 추진하던 김대중 정부는 `서해교전'이라고 평가절하했고, 심지어 김 전 대통령이 해전이 발발한 다음 날 월드컵 결승전 관람을 위해 일본으로 출국하고 영결식에 참석하지 않는 군 통수권자답지 않은 모습을 보였었다.
이후 노무현 정부에서 노 전 대통령이 기념식에 한 번도 참석하지 않는 등 철저히 무시했었다.
최근 우리 정보당국이 전투가 벌어지기 전 북한의 도발을 감지한 정보를 입수했지만, 이를 묵살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대북관계를 의식해 정부와 우리 군이 북한의 눈치를 살폈다는 비판마저 제기됐다.
이 같은 정부의 무시 속에서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지키다 목숨을 잃은 희생을 인정받지 못한 한상국 중사의 부인이 2005년 미국으로 이민을 떠나기도 했다.
하지만 현 정부 들어서 전사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판단에 따라 2008년에는 서해교전을 제2연평해전으로 격상했고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기념식도 열어 희생자들의 넋을 기렸다. 여기에다 이번 대통령의 기념식 참석으로 명예회복의 마지막 점을 찍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