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9명 중 중상자는 7명이다. 추돌한 후속 열차 기관사 엄모(46)씨를 포함해 쇄골·어깨·무릎이 골절된 3명은 수술을 마치고 회복 중이며, 발꿈치와 코뼈 등을 다친 4명은 수술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 나머지는 경상으로 조만간 퇴원 예정이다.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관계자는 "기관사 엄씨는 수술 후 아직 중환자실에서 회복 중"이라며 "수술이 필요한 환자들 외에는 연휴도 있고 해서 퇴원하고 싶어해 절차를 밟고 있다"고 말했다.
시는 부상자에 대한 치료비 전액 지원과 관련, 서울메트로가 보험에 가입했기 때문에 별도의 시 예산은 들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시는 세월호 참사 후 지난달 17일부터 30일까지 지하철도 특별점검했지만 신호기는 일상점검 대상이라는 이유로 제외했다. 그러나 매일 점검에서도 신호기 오류를 발견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하기 전까지 나흘간 방치됐다.
이 기간 동안 해당 구간을 지나는 하루 550대의 열차가 사고 위험에 노출된 채 승객들을 실어나른 것으로 확인됐다.
오류가 난 신호기들은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조사위원회 승인 후 이날 오전 4시 25분에 완전히 복구됐으며, 최종 사고 원인은 국토부에서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