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이 실시한 '감정 조작 실험'에 대한 위법성 논란과 윤리적 문제가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페이스북이 실시한 '감정 조작 실험'이란 무엇인가?
페이스북이 실시한 '감정 조작 실험'은 페이스북 코어 데이터 사이언스 팀의 애덤 크레이머,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주립대의 제이미 길로리, 코넬대 커뮤니케이션학부와 정보과학부의 제프리 핸콕 등 3명이 2012년에 1주일간 실시한 것으로 실험의 피험자 수만 68만9천3명에 이르는 실험이었다.
이 실험팀은 사람들의 감정 상태가 직접 접촉 없이도 네트워크를 통해 '전염'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입증하고자 했고, 이 실험에 대한 연구 논문이 지난달 29일(현지시간)에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리면서 알려졌다.
이 논문은 네트워크를 통한 대규모의 '감정 전이'가 이뤄진다는 실험적 증거를 제시했으며, 특히 대규모의 통제된 실험을 실시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표본 수를 늘리고 통제된 실험을 실시하는 것은 과학적 타당성 검증을 위해 필수적이지만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극히 어려운 일인데, 실험팀은 페이스북 사용자의 뉴스피드을 활용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감정을 담은 포스트가 제거될 확률을 10%∼90%의 범위에서 달리해 실험을 진행했다.
스피드에 뜨는 포스트의 노출 확률과 빈도를 조절함으로써 '정서적 자극'이라는 요소를 정량적인 변인으로 만들어 통제하고, 이것이 네트워크 차원의 감정 전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본 것이다.
그 결과 긍정적 포스트를 접하는 빈도가 감소한 사람들은 긍정적 포스트를 더 적게, 부정적 포스트를 더 많이 생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 부정적 포스트를 접하는 빈도가 감소한 사람들은 긍정적 포스트를 더 많이, 부정적 포스트를 더 적게 생산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감정 조작 실험'을 통해 다른 페이스북 사용자들이 표현한 감정들이 우리 자신의 감정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즉, 통념과는 정반대로 사람들 사이의 직접 접촉이나 비언어적 신호(non-verbal cues)가 전혀 없이도 감정 전염이 가능하다는 점이 입증된 셈이다.
그러나, 이번 페이스북의 '감정 조작 실험'은 사용자들의 감정을 조작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했다는 점에서 윤리적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한, 영국 정보보호위원회(ICO)는 페이스북이 연구자들에게 사용자들을 상대로 이처럼 심리실험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한 것이 정보보호법 위반인지 조사하고 있다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3일 파이낸셜 타임스 인터넷판에 따르면 셰릴 샌드버그 페이스북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최근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페이스북의 감정 조작 실험에 대해 그 취지가 잘못 전달돼 유감이라고 밝히면서 앞으로 이런 시도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