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부동산써브 조사에 따르면 이달 2주차 시세 기준 서울의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총 120만5022가구 가운데 전세가격이 10억원 이상인 곳은 1만1432가구다.
이는 2009년 서울의 10억원 이상 전세 아파트가 2385가구였던 것과 비교하면 5년 만에 479% 증가한 것이다.
서울의 10억원 이상 전세 아파트는 2009년 2385가구에서 2010년 2484가구로 4% 증가했고, 2011년 7296가구(194%↑), 2012년 7376가구(1%↑), 지난해 7646가구(4%↑), 올해 1만1432가구(50%↑)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부동산써브 김미선 선임연구원은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 이후 경기 침체가 지속되며 아파트 매매가격 약세가 이어지면서 주택을 구매할 능력을 갖춘 층에서 전세를 선호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며 "아파트값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전세 선호 현상이 심화해 고가 전세도 덩달아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10억원이 넘는 전세 아파트가 가장 많은 지역은 강남구로 서울 전체의 55%(6260가구)를 차지했다.
이어 서초구가 37%(4267가구)로 강남구와 서초구에 서울의 10억원 이상 전세 아파트가 90% 이상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용산구 273가구, 양천구 203가구, 성동구 189가구, 마포구 178가구, 종로구 34가구, 송파구 16가구, 중구 12가구 등 순이었다.
2009년 서울에서 10억원 이상 전세 아파트가 있는 구는 강남·서초·용산·송파 등 4곳에 불과했지만, 5년 만에 9곳으로 확산한 것이다.
김미선 선임연구원은 "현재 강남구에서 개포지구와 압구정지구, 서초구 반포·잠원동 일대에서 대규모 재건축 개발이 진행 중이어서 이 지역에 새로 들어서는 아파트의 전셋값도 고가로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며 "앞으로도 전셋값 10억원 이상 아파트 수는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