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대기업 인력감축보다 유동성 확보·긴축재정으로 버틴다

대기업들은 심각한 경영난에도 불구하고, 인력감축을 최대한 지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대기업 10곳 중 3곳은 코로나19가 6개월 이상 지속할 경우 인력 구조조정 없이 경영 유지가 어렵다며 정부의 지원을 촉구했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 이하 한경연)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하여 국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기업 구조조정 현황」을 조사한 결과, 코로나19에 따른 경영위기 극복방안은 금융자금 조달 등 유동성 확보(22.5%), 휴업·휴직(19.4%), 급여 삭감(17.5%) 등이며, 인력감축을 응답한 기업 비중은 8.8%로 조사되었다.

현재의 코로나19로 인한 경영난이 6개월간 지속될 경우, 인력 감축 기업비중은 32.5%로 크게 늘었다. 이는 현재 인력감축을 진행․계획 중인 대기업 비중 8.8%의 3.7배 수준이다.

현 상황 유지 시 고용유지 한계기간은 0~2개월(6.7%), 2~4개월(16.7%), 4~6개월(9.2%) 6개월 이상(67.5%)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기업들은 고용대란 방지책으로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요건 대폭 완화(37.5%), ▲최저임금 동결(19.2%) 등을 요구하였다.

경영위기

휴업·휴직을 실시하고 있지만, 지원요건 미달로 고용유지지원금을 받지 못하는 대기업은 80.6%에 달했다

국내 대기업들은 코로나19에 따른 경영위기 대응방안으로 주로 ‘유동성 확보 및 비용절감’(59.4%)을 추진하고 있으며, ‘인력감축’(8.8%)은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금융자금 조달 등 현금유동성 확보 조치(22.5%), 유·무급 휴업 또는 휴직(19.4%), 성과급, 복지비 등 급여삭감(17.5%), 명예·희망퇴직, 정리해고, 권고사직 등 인력 감축(8.8%), 비주력사업 매각, 인수합병(M&A) 등 사업구조 개편(4.4%) 순으로 나타났다.

대기업들은 고용대란을 막기 위한 정책지원으로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요건 대폭 완화(37.5%)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 최저임금 동결(19.2%), 긴급융자제도 도입(14.9%), 특별고용지원업종 추가 지정(13.9%), 직원 월급 보증제도 도입(11.5%) 등을 제언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경영 위기에도 휴업·휴직 실시로 고용을 유지하는 대기업에 고용유지지원금이 원활히 지급되도록 지원요건을 완화해 정부가 민간의 고용유지 노력에 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