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3개월치 렘데시비르 싹쓸이
미국이 코로나19 치료제인 '렘데시비르' 3개월치 물량을 싹쓸이한 것으로 알려졌다.
3일 CNN방송과 AFP통신에 따르면, 미국은 9월말까지 길리어드가 생산하는 렘데시비르 물량의 92%를 구입했다.
미국은 길리어드 측의 7월 생산 예상량 전부를 매입한데 이어, 8월과 9월 생산량의 90%도 확보했다. 이는 50만회 이상의 치료 과정에 활용될 수 있는 분량으로, 원칙상 투약기간이 5일인 것을 감안하면 최대 10만명에 투약이 가능하다.
렘데시비르는 에볼라 치료제로 개발됐지만 최근 미국에서 진행한 초기 임상시험에서 코로나19 환자의 회복 기간이 31% 단축됐다는 발표가 나오면서 주목받고 있다.
길리어드는 10월까지 50만회 이상, 12월까지 200만회 이상의 치료과정에 사용될 수 있도록 렘데시비르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 약이 전세계로 배포될지는 불분명한 상황이다.
길리어드는 지금까지 약 14만회 치료 과정에 사용될 수 있는 150만회 투여분을 전 세계에 기증했다. 또 인도, 이집트, 파키스탄 등의 5개 복제약 제조사와 협약을 통해 127개의 저소득국 공급을 위한 렘데시비르 생산을 허용했다.
![코로나19 치료제 렘데시비르 코로나19 치료제 렘데시비르](http://images.jkn.co.kr/data/images/full/947341/19.jpg?w=600)
이러한 가운데 국내에서는 코로나19 환자 2명에게 처음으로 렘데시비르가 투약된다.
앞서 방역 당국은 폐렴이 있으면서 산소치료가 필요한 국내 중증·위중 환자 33명에게 렘데시비르를 우선 투약할 계획이라고 밝혔었다.
질병관리본부(질본)에 따르면, 렘데시비르를 투약을 받으려면 ▲흉부엑스선 또는 CT상 폐렴 소견 ▲산소포화도가 94% 이하로 떨어진 상태 ▲산소치료를 하는 환자 ▲증상발생 후 10일이 지나지 않은 환자 등 4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투약기간은 5일(6병)이 원칙이지만, 필요할 경우 5일 더 연장할 수 있다. 다만 전체 투약기간이 최대 10일을 넘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