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美 수출통제 유예 연장…반도체업계 "불확실성 해소"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SK하이닉스 중국 공장의 반도체 첨단장비 반입 허용 기간을 연장한다는 소식에 국내 업계는 긍정적으로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은 반도체 첨단장비의 대(對)중국 수출을 사실상 금지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에 대해선 수출 통제 유예를 당분간 연장한다는 방침을 확인했다.

앞서 미국 상무부는 지난해 10월 미국 기업이 중국의 반도체 생산기업에 반도체 장비를 수출하는 것을 사실상 금지하는 수출 통제를 발표했다.

▶ 핀펫(FinFET) 기술 등을 사용한 로직칩(16nm 내지 14nm 이하) ▶ 18nm 이하 D램 ▶ 128단 이상 낸드플래시 등을 생산할 수 있는 장비·기술을 중국 기업에 판매할 경우 허가를 받도록 한 것이다.

다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대해선 1년간 수출 통제를 유예했다. 따라서 유예가 끝나는 올해 10월 이후에 적용될 미국의 후속 조치에 관심이 쏠린 상태였다.

이런 가운데 미국이 '당분간'이라는 단서를 달면서도 한국 기업에 대한 수출 통제 유예 연장 방침을 밝힌 만큼 국내 반도체 업계는 불확실성 해소 측면에서 반기는 분위기다.

반도체 초격차 지원 위해 삼성전자 생산 현장 방문한 추경호 부총리
[연합뉴스 제공]

업계 한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방침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확실히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며 "불확실성이 해소되어 가는 과정으로 본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현재 중국에서 가동하는 메모리 생산 라인이 지속가능하려면 기술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며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가능하게 하는 미국의 조치가 이어지면 불확실성이 많이 해소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중국에서 생산 활동을 하는 한국 기업에 대해 한시적 유예 조치 대신 별도의 장비 반입 기준을 마련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서 각각 낸드플래시 생산 공장과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공장을 운영 중이다.

SK하이닉스는 우시 D램 공장, 충칭 후공정 공장, 인텔로부터 인수한 다롄 낸드 공장을 운영한다.

삼성전자는 시안 공장에서 낸드 생산량의 40%를, SK하이닉스는 D램과 낸드 생산량의 각각 40%와 20%를 우시 및 다롄 공장에서 각각 생산한다. 두 업체는 중국 공장 가동에 필요한 물품 일부를 미국에서 조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