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1인 가구가 전체 가구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1인 가구가 지출을 줄이면서 전체 소비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3일 공개한 '최근 1인 가구 확산의 경제적 영향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가구원 수별 2019∼2023년 평균소비성향(소비지출/가처분소득) 변화 조사에서 1인 가구의 감소율이 5.8%(0.78→0.74)로 가장 높았다.
이어 ▶ 3인 가구 -4.3%(0.69→0.66) ▶ 2인 가구 -2.5%(0.71→0.69) ▶ 5인 이상 -1.8%(0.77→0.76) ▶ 4인 가구 -0.5%(0.74→0.73) 순으로 소비 위축의 정도가 심했다.
1인 가구의 평균소비성향 약화의 원인으로는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을 거치면서 오른 주거비가 꼽혔다.
1인 가구는 생활비 부담이 크고, 가구원 간 리스크 분담이 어려운 문제가 있는데, 특히 청년층은 주거비에 대한 부담이 컸으며 고령층은 고용안정성 측면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평균소비성향 약화는 이들의 소득· 자산 등 경제 형편이 취약한 상황에서 팬데믹 기간 중 ▶주거비 상승 ▶생활비 부담 증가 ▶임시·일용직 중심 고용 충격 ▶위기에 따른 소득 충격 등의 요인이 함께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한은은 "그 결과 1인 가구의 소비성향이 뚜렷하게 떨어졌으며, 이는 빠르게 늘어나는 1인 가구의 비중을 감안할 때 향후 우리 소비회복을 구조적으로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1인 가구의 소득은 다인 가구와 비교해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2023년 중 1인 가구의 약 70%가 연소득 기준으로 3천만원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균등화 소득5) 기준으로 1인 가구(2,606만원)의 평균 소득이 전체 가구(3,950만원)에 비해 34.0% 낮았다.
1인 가구의 부채 대비 자산규모는 다인 가구의 보유규모를 상당폭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인 가구는 여타 가구에 비해 단순·임시직 일자리 비중이 높아 고용안정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1인 가구의 지출 가운데 2023년 기준으로 월세 등 주거·수도·광열비 비중이 평균 20%를 넘는 가운데, 코로나19 이후 지속적으로 월세 수준이 높아지면서 특히 청년층 1인 가구의 소비를 제약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1인 가구 중 월세 비중은 42.3%로 전체 가구의 약 2배 수준을 나타내었다.
특히 29세 이하 1인 가구의 월세 비중이 64.1%로 가장 높았으며, 30~50대도 40% 이상의 높은 수준을 보였다.
아울러 1인 가구의 경우 소득 대비 주거비 과부담 가구 비중이 비교적 높은 상황에서 월세 가격이 그간 하락 추세를 보이다 팬데믹 이후 큰 폭으로 상승 전환함에 따라 1인 가구에는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한은은 판단했다.
고령층 1인 가구는 코로나19 경제 충격 당시 임시·일용근로 일자리가 크게 줄면서 겪은 '상흔(상처) 효과'가 상당 기간 이어져 소비를 줄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1인 가구의 경우 생활비 지출 비중이 높은데 팬데믹 이후 생활물가가 빠르게 상승하고 높은 변동성을 보임에 따라 이들의 소비심리가 위축되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다른 가구원들과 경제 충격을 분담하기 어려운 1인 가구의 구조적 특성 등도 소비성향 약화의 요인으로 거론됐다.
2023년 기준 세 가구 중 한 가구가 1인 가구이고, 전체 소비 지출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약 20%에 이는 상황에서 이들의 소비 위축은 우리나라 전체 소비 회복까지 구조적으로 제약하고 있다는 게 한은의 진단이다.
게다가 팬데믹 이후 지정학적 리스크, 기후변화 등으로 에너지·식품 가격의 변동성이 높아진 것도 1인 가구의 소비를 제약하는 또 다른 요인으로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한은은 "내수 기반 차원에서 1인 가구의 주거·소득·고용 안정이 중요한데, 연령대별로 나눠 정책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청년층 1인 가구의 경우 주거비 부담 해소를 위한 주거 안정 대책이 절실하고, 고령층 1인 가구는 열악한 고용·소득 문제를 해결하는 빈곤 대책이 우선 실행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1인 가구만을 대상으로 한 지원책은 저출생 대책과의 상충 등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영국 등 해외사례처럼 전체 취약계층을 포괄하는 정책 틀 안에서 1인 가구 문제에 균형감 있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