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엄격한 구조조정 잣대 ‘중견기업’ 포함될 듯

한편 오늘 있을 구조조정이 지난해 1,2차 구조조정과는 다르게 매우 높은 강도로 시행될 것으로 전망돼 건설사들의 걱정이 높아가고 있다.

건설업계에 정통한 정보통에 따르면 오늘 구조조정에는 K사, N사, D사, B사, S사 등 국내 건설시장에서 우량주로 손꼽히던 중견기업들도 일부 포함될 것으로 보여 해당 건설사들이 노심초사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특히 금융당국이 채권은행들에게 현재 유동성 흐름이 양호해도 향후 주택사업 리스크까지 평가하라는 지침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구조조정의 잣대가 너무 엄격한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

이와 관련 일부 전문가들은 금융당국의 이 같은 구조조정 방침이 자칫 회생 가능성이 충분한 건설사를 벼랑 끝으로 내몰 수 있고 분양 예정 사업장의 리스크 절대적인 판단 기준이 없어 형평성 논란이 일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즉 부실 건설사를 추려 건설시장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일은 필요하지만 과도한 구조조정은 건설업의 성장을 방해하기 때문에 금융당국이 작금의 부동산 시장 침체를 고려해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익명을 요구한 건설사 관계자는 “주택시장이 장기조정국면으로 접어들며 일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우량 건설사가 있을 수 있다”라며 “금융당국이 채권은행에 고강도 평가 지침을 전달한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정확한 가이드라인이 없다면 형평성 논란에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고 일침을 놓았다.

하지만 일각의 이런 우려에도 불구하고 오늘 있을 구조조정이 주택시장의 호황을 틈타 무책임하게 시장에 뛰어든 부실 건설사에게 책임을 묻는 자리인 만큼 엄격한 잣대를 적용할 수밖에 없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구조조정을 지연시키는 것은 시장의 불확실성만을 키울 뿐이고 회생가능성이라는 막연한 개념으로 생명줄을 연장한다면 이는 시장을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기 때문에 엄격한 평가를 통해 옥석가리기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은행권 관계자는 “구조조정과 관련해 형평성 논란에 시달린다고 하더라도 엄격한 잣대를 적용하지 않으면 구조조정 노력을 게을리 한 저축은행이나 당국에 비난의 화살이 돌아갈 수밖에 없다”라며 “구조조정 후 강도 높은 자구노력이 이뤄지도록 철저히 관리·감독하는 일이 우선”이라고 밝혀 일부 회생가능성이 있는 건설사도 명단에 포함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퇴출대상이 확정될 경우 채권단은 해당건설사에 대한 대출에 대손충당금을 부담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저축은행이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금융권도 건설사 구조조정을 앞두고 긴장하고 있는 모습이다.

◆ 건설사 구조조정 임박…금융권도 비상

현재 은행들의 자금 여력이 지난해보다 좋은 상태이기 때문에 오늘 구조조정에서는 평가에 따라 C, D 등급을 내리는 것에 큰 부담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은행들 역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등 고삐를 바짝 조이고 있는 상태다.

건설사 구조조정 대상 기업은 지난 1,2차 구조조정 때와 비슷한 20~25곳 정도로 압축되고 있지만 건설사 구조조정으로 부실채권이 양산될 수 있어 금융권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권에서 건전성 분류를 강화해 추가 대손충당금 적립 등을 검토하는 한편 기업들의 신용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등급 재조정 작업도 추진하고 있지만, 건설사 구조조정으로 인한 대손충당금 적립 규모가 늘어나면서 실적이 악화될 수도 있다”라며 “이번 평가 결과 C~D등급을 받는 건설사들이 많이 나올 경우 충당금 규모도 늘어날 수밖에 없고 건설업계를 제외하더라도 하반기에 경기가 악화될 경우 충당금 규모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은행 입장에선 걱정이 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런 이유로 오늘 구조조정 발표를 앞두고 저축은행들도 결과에 따라 금융권 구조조정으로 상황이 확산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는 눈치다. PF대출의 부실화로 속병을 앓고 있는 상황에서 건설사 퇴출작업이 본격화되면 부실규모가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임해중 기자 haezung@jk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