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전문가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금리 인상이 한두 달 빨리 닥치며 부동산 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환호하고 있는 주식시장과는 상반되게 부동산 시장은 금리인상에 따른 후폭풍을 걱정하고 있는 눈치다.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부담으로 가계의 이자 부담이 늘어나게 돼 가뜩이나 먹구름이 끼어있는 주택시장의 압박수위를 한층 높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기준금리 인상에 맞춰 은행들이 다음 주 중 예금과 대출 금리를 올릴 예정이기 때문에 가계부채의 주를 이루고 있는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외신들은 지난 9일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소식을 전하며 한국 경제의 빠른 회복세와 물가 압박을 이번 인상의 배경으로 분석했다.
이와 관련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대부분의 전문가가 다음 달 인상을 점쳐왔다”며 “이번 인상이 시장을 놀라게 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 가계부채 더 늘어나면 어떡하나
이번 깜짝 금리인상 소식에 주식시장은 일단 환영하는 분위기다. 정부와 한국은행의 경제회복에 대한 자신감이 이번 금리인상에 반영됐다는 해석이 주를 이루며 주가지수 반등에 톡톡히 기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동산 시장은 이와 반대되는 입장이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돼 가계부채 규모가 큰 폭 늘어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금융권 전체의 가계·기업 대출 잔액은 1천246조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변동금리 대출의 비중 등을 고려하면 금리가 0.25%포인트 오를 때 가계와 기업의 이자부담은 연간 2조4천억원 가량 늘어난다.
문제는 가계부채의 대부분이 주택담보대출로 이뤄져있고 대출 금리의 기준이 CD금리와 연동돼 깜짝 금리인상이 곧바로 가계 부담으로 직결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이자부담 가중이 가계부채를 더 부추길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가고 있는 현실이다.
한편 기준금리 인상이 매수 심리를 위축시켜 부동산 시장을 더 움츠러들게 할 것이라는 전망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속속 등장하고 있다.
부동산 뱅크 관계자는 “부동산시장침체를 반등시킬만한 호재가 없는 상황에서 기준 금리 인상은 엎친 데 덮친 격”이라고 표현하며 “인상 폭이 어느 정도인가에 관계없이 본격적인 금리 인상에 대한 신호탄이라는 점에서 불안감 확산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이 문제”라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상가·오피스텔 등 수익형 부동산에 대한 투자심리 위축도 점쳐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이번 기준금리 인상으로 건설사의 자금조달에도 적신호가 켜질 것으로 보인다. 중견 건설사들의 경우 악성미분양으로 대출금을 갚기 위해 또 다른 대출을 받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는데 금리 인상으로 자금조달이 힘들어져 유동성 위기를 겪는 건설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한 건설사 관계자는 “주택거래 활성화 대책을 기대했던 건설사들은 뒤통수를 맞은 기분”이라며 “아파트 분양시장에도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