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동렬(트윗@newclear_heat) 기자] 부산상호저축은행이 영업정지가 내려지기 전날 VIP 고객들만 몰래 불러 예금을 특혜 인출해준 것으로 알려지면서, 파문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26일 금융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해보면, 부산저축은행은 지역 재력가와 의료·법조계 인사 등 30여명의 고객에게 특혜 인출을 해줬으며, 직원들은 자신의 친인척 예금을 임의로 해지하고 돈을 빼갔다. 반면 다음날부터 취해진 영업정지 조치로 약 30만명의 예금이 묶였다.
또한 영업 정지된 7개 저축은행 전체에서 총 3000건, 1000억원이 넘는 돈이 영업정지 전에 인출돼 부산저축은행과 유사한 일들이 벌어진 것으로 보인다.
![]() |
▲ 부산저축은행 경영이념. |
부산저축은행 예금자 200여명은 25일에 이어 26일에도 금융감독원 부산지원을 항의방문하고, 관계자 처벌을 요구했다. 부산저축은행 비상대책위원회는 김석동 금융위원장을 고소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은 부당하게 인출된 VIP 예금자 및 임직원들의 예금을 전액 환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제창·박병석·박선숙·신건·이성남·조영택·홍재형 의원(민주당), 임영호 의원(자유선진당), 김정 의원(미래희망연대), 유원일 의원(창조한국당) 등은 공동 성명을 통해 "사법당국은 저축은행 대주주와 경영진의 책임뿐만 아니라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 금융당국의 직무유기에 대해서 강도 높은 수사를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진보신당은 성명을 통해 "저축은행은 빈축은행이 됐고 금감원은 눈감원이 됐다"며 "검찰과 경찰은 세간에 제기되고 있는 사전 정보 유출 의혹, 금융당국의 방조 의혹 등을 철저히 조사해야 할 것이다. 관련자들에 대한 엄중한 형사처벌과 함께 다시는 이와 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재발 방지 대책을 철저히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처럼 사태가 심각해지자, 이명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철저히 조사하고 엄격히 대응하라"며 "국민권익위원회가 총괄적으로 비리척결을 챙겨달라"고 지시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감독당국이 철저히 조사하고 검찰에 통보하는 한편,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며 "이런 행태가 통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백하게 보여줄 것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