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KDI)이 4일 발표한 `영어교육 투자의 형평성과 효율성'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영어교육과 관련한 여러 가지 과열 양상과 문제점, 개선점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영어 점수를 올리기 위하여 지출하는 사교육 비용이 소득계층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데, 우선 참여율에서 월소득 100만원 이하 가구의 학생은 20% 수준이지만 500만원 이상 가구의 학생은 70%를 넘었다.
또 사교육비(사교육 미참여 학생 포함) 규모는 100만원 이하 가구의 학생이 1만6천원인데 반해 700만원 이상 가구의 학생은 10배 수준인 16만3천원에 달했다.
이는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수학능력 영어성적, 토익점수, 그리고 수능성적에서 영어점수가 수학·국어보다 소득계층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과 관련이 있다.
보고서는 그러나 취업을 위해서 영어점수를 올리는 데에 급급한 학생들이 가지는 생각 중에 우수한 영어능력이 임금 프리미엄에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은 착각이라고 지적했다.
영어를 잘 하는 인재가 임금으로 보상받는 것은 영어 그 자체가 아니라 생산성 향상에 영향을 미친 다른 장점 때문일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또 대학생들은 영어능력, 출신대학, 업무 관련 경험 순으로 생각하는 데 비해, 상당수 기업은 채용 때 인성, 적성, 전공학과, 영어능력 순으로 중시한다고 밝히고 있다고 덧붙였다.
KDI는 이 보고서를 통해 영어교육에 대한 지나칠 정도의 과도한 투자가 이뤄지는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는 초중등학교, 대학, 기업, 정부의 합리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